韓 금융시스템 리스크 '대북 이슈' 급부상…가계 빚 우려↑
韓 금융시스템 리스크 '대북 이슈' 급부상…가계 빚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자료=한국은행

한은, 국내외 금융전문가 72명 설문…"현실화 가능성은 낮아져"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국내외 금융시장 전문가들이 꼽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 1순위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꼽혔다. 6개월 새 새로 추가된 변수다. 경제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 문제를 지적하는 전문가 비중도 크게 높아졌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과 금융시장(주식·채권·외환·파생) 참가자,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들이 1순위로 꼽은 리스크 요인은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33%) △가계부채 문제(32%) △미 연준의 금리 인상·보유자산 축소(14%)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7%) △가계소득 부진 지속(4%) 순이다.

지난해 하반기 이뤄진 동일 조사에서는 가계부채 문제(30%)가 독보적이었으나, 순위에 없던 지정학적 리스크가 6개월 새 급부상하게 됐다. 새 정부 출범을 전후로 잇따른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미국 정부의 대북 스탠스 관련 불확실성이 부각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새롭게 편입됐다"며 "가계부채와 미 연준의 금리 인상·보유자산 축소에 대한 응답 비중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응답자별로 지적한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집계해 보면 가계부채 문제의 응답 비중이 85%에 달했다. 6개월 새 15%p나 급등한 수치다. 미 금리 인상·보유자산 축소도 12%p 상승한 63%의 비중을 나타냈다.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71%,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 51%,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은 44% 수준으로 응답됐다.

지정학적 리스크는 1년 이내의 단기 시계에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발현할 가능성이 있지만, 발생 가능성은 중간 수준으로 평가됐다. 역시 단기 리스크로 꼽힌 미 금리 인상·보유자산 축소의 경우 발생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이 많았다.

역시 올해부터 새로 추가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와 잠재 리스크로 꾸준히 지적된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은 3년 이내의 중단기에 발현될 가능이 있다는 평가다. 가계부채 문제는 1~3년 새의 중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로 인식됐다.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와 가계부채 문제 발생 가능성은 중간 수준으로 평가됐다.

이같은 여건을 종합할 때 단기 시계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은 종전보다 낮아졌다는 평가다. 해당 질문에 '낮다'고 대답한 응답비중은 51%로 6개월 새 6%p 높아졌고,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13%로 10%p나 떨어졌다.

중기 시계에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은 6개월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44%에서 38%로 떨어졌고, 낮다는 응답은 18%에서 15%로 하락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